[7th:오노다선, 6/14] 5. ‘박물관 차량’이 마지막으로 운행했던 노선 (운행형태, 차량 등)
오노다선 ‘본선’ 완승을 위해 이동하고 있습니다.
종점인 우베신카와는 우베선과의 중복형태지만, 운행계통 상 오노다선의 시/종점이 되죠.
[사진5921~5924: 우베시 공장지역을 달리고 있습니다. 멀리 도로용 다리와 나란히]
[사진5925: 제가 탄 차량에는 입석도 있었습니다. 단칸방 운행에서 이 정도면 ^^]
[사진5926,5927: 출입문 끼임에 주의해 달라는 안내는 간결하면서도 한 눈에 봐도
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. 아이콘만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……]
[사진5928: 출입문 정비는 2008년1월10일에 받았습니다]
오노다선의 모든 열차는 오노다역(小野田駅)과 우베선(宇部線) 우베신카와(宇部新川) 사이를
1~2시간에 1편 패턴으로 운행합니다. 운행형태로 인해 ‘우베. 오노다선’으로 불리기도 하죠.
홀수 월 두 번째 목요일 낮 시간에는 운휴하는 열차도 있어서 이 때에는 5시간 넘게
열차가 없을 때도 있습니다. (더더욱 버스에 밟히는 이유가 되죠)
스즈메다~나가토모토야마(雀田~長門本山) 사이 모토야마지선(本山支線)은 아침 2왕복,
저녁시간 3왕복 등 총 5왕복만 운행하며 일부는 우베신카와까지 운행합니다.
예전에는 통학 학생을 위해 토요일 아침에 1왕복 운행을 했으나, 모든 학교가 주 5일제
시행에 따라 없어졌습니다.
오노다선 모든 열차는 one-man 운행을 하고 있죠.
열차는 오노다선의 실제 종점인 역에 도착합니다.
[사진5929,5930: 오노다선의 실제 시/종점인 이노 역입니다.
오노다선의 모든 열차는 우베신카와역을 시/종점으로 하고 있죠]
[사진5931: 이노역 개찰구에 있는 집표함인데요, one-man 운행이기 때문에
실제로 의미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. (차내정산을 못 하면 내리질 못하죠)]
[사진5932,5933: 운전실에 갖춰져 있는 방호도구 및 비상용 전화입니다.
이 장치를 쓰는 모습을 안 볼 수 있는 것이 ‘안전운행’이죠]
[사진5934: 우편화차로 썼을 때에는 없었을 one-man 대응 ‘돈통’]
[사진5935: 이노역에서 교행하는 105계입니다. 2량 편성에 one-man 운행]
위 사진까지 해서 오노다선 운행 열차를 다 보여드렸습니다.
차량은 우베선과 같이 시모노세키지역철도부(下関地域鉄道部) 시모노세키관리실의 105계,
123계 전동차로 운행하고 있습니다.
모토야마지선의 역 플랫폼은 1량 한계인 관계로 123계만 운행하고 있습니다.
2003년3월14일까지는 옛 국철형 전차 ‘쿠모하42형(クモハ42形)’이 일본 내에서
마지막까지 운행한 기록도 있죠.
*참고로 이 전차와 비슷하게 생긴 차량이 수도권을 마지막으로 달린 역사는
1996년3월까지 츠루미선(鶴見線)에서 쿠모하12형이 있었습니다.
[사진5936: 종점인 우베신카와까지 강을 건너고]
[사진5937: 공사중인 고가도로를 지나면 도착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]
열차의 종점인 우베신카와에 도착했습니다. 오노다선 운행의 끝이죠.
[사진5938: 운임표를 보면 재미있는 체계를 볼 수 있습니다. 발견하셨나요?]
제가 만약 JR Pass가 없었다면 로컬선인 오노다선 경유로 갈 때에는 230엔을 내야 합니다.
그런데~ 사진 5938의 운임표 상으로 보면 190엔만 내는 것으로 나와 있죠.
실제로 경로검색 사이트에서 오노다~우베신카와 구간을 보면
-우베선을 경유할 경우: 190엔
-오노다선을 경유할 경우: 230엔이 나옵니다.
그러나, 현실적으로는 오노다선을 이용해도 190엔만 지불하는 형태죠.
[사진5939: 운전사가 돈통을 확인하는 모습. 돈통 옆으로 우선석이 있습니다]
동영상과 여행기 내용이 딱 맞네요.
[사진5940: 열차가 우베신카와에 도착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.
영상에서 또 한 대의 123계를 볼 수 있습니다]
이렇게 해서 오노다선의 ‘본선’을 완승했습니다.
이제 모토야마지선을 향해 움직입니다.
'[Train Destiny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7th:오노다선, 6/14] 7. 우베신카와에서 U-Turn, ‘사악한 지선’을 향해 (오노다선 역사) (0) | 2009.03.08 |
---|---|
[7th:오노다선, 6/14] 6. 로컬선의 숨통을 트여주는 시/종점 연계: 우베신카와 (0) | 2009.03.01 |
[7th:오노다선, 6/14] 4. 버스에 밟히는 전철화 로컬선(개요, 노선 자료) (0) | 2009.02.24 |
[7th:오노다선, 6/14] 3. 단칸방 우편용 차량이 로컬선에: 123계를 타고(1) (0) | 2009.02.23 |
[7th:오노다선, 6/14] 2. 노선 시작점인 오노다 역으로 (0) | 2009.0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