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Train뉴스_2008

[JR동일본] 야마노테선에 가동식 홈도어 도입에 대하여

CASSIOPEIA_daum 2008. 6. 4. 21:06

[JR동일본] 야마노테선에 가동식 홈도어 도입에 대하여

 

▷에비스(恵比寿), 메구로(目黒)역에 우선 도입합니다.

 

JR동일본에서는 플랫폼에서 사고방지 대책으로서 지금까지 열차비상정지 경보장치와

추락감지 매트 등 정비를 진행했습니다.  또한 최근 플랫폼 안전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

높아지고 있어서 그룹경영 Vision 2020 – 도전과제에서 야마노테선(山手線)에 가동식

홈도어 도입을 발표했습니다. 가동식 홈도어 설치에 따라 사고 방지와 승객 안전향상,

수송장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
 

1. 도입진행방향

이번에 야마노테선 역 중에서 에비스’, ‘메구로역에 우선 도입하여 야마노테선의 모든

역에 도입을 위한 검증을 실시합니다.  2개 역은 플랫폼 구조상, 빠른 기간에 홈도어의

정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입을 결정했습니다.

선행 도입하는 2개 역 홈도어 사용은 2010년으로 예정하고 있습니다.

선행도입 역에서 기술적인 문제, 열차운행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증하여 이 결과를

이후에 설치할 역에 반영하여 향후 10년간 모든 역에 정비를 진행할 예정입니다.

 

또한 에비스, 메구로역에 홈도어를 정비하기 위한 공사비로 가동식 홈도어 설치, 플랫폼

구조 개량 등 지상공사로 약 30억엔, 정위치 정지장치 설치 등 차량개조공사로 약 20억엔을

투입할 예정입니다. (야마노테선 모든 역 정비비용은 현 시점에서 약 550억엔으로 예상하고

있으나, 향후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)

 

2. 선행도입 역에 설치하는 가동식 홈도어의 특징

가동식 홈도어는 플랫폼에 있는 승객이 선로 추락과 열차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

유효한 설비로 차량 쪽 출입문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지상문이 열리고 닫힙니다.

이번에 도입하는 홈도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-Door 수납 일부분을 긴급탈출구로 설계하여 차량으로부터 플랫폼으로 긴급피난을

 배려하고 있습니다.

-내구성 환경성능 향상, 시스템의 이중계통 등으로 신뢰성을 높입니다.

-가동식 홈도어 동작상황을 원격감시로 모니터링 하여 만일의 사고에 대비를 강화합니다.

 

3. 기타 공사

그 외 야마노테선에 가동식 홈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시행되는 공사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) 플랫폼 구조 개량공사

-야마노테선 플랫폼은 오래된 곳이 많아 대규모 구조개선이 필요합니다.

 가동식 홈도어를 바닥에 고정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플랫폼 바닥부분을 강화합니다.

2) 정위치 정지장치(TASC: Train Automatic Stop Control system)

-열차 출입문 위치가 플랫폼의 홈도어와 정확히 맞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
 지금보다 더 정밀한 정지위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야마노테선의 차량에 홈도어 제어장치

 외에 운전사의 브레이크 조작을 지원하는 정위치 정지장치(TASC)’를 설치하기 위한

 개선공사를 실시합니다.  또한 선로 위에 TASC용 지상자를 설치합니다.

 

3) 야마노테선 6 Door 차량 교체공사

-야마노테선 니시닛포리~하마마쓰쵸(西日暮里~浜松町) 구간은 수송장애가 발생할 때

 케이힌토호쿠선과 같은 선로를 사용한 열차운행을 하기 때문에 야마노테선 6 Doors

 차량이 정차하는 위치에 케이힌토호쿠선의 4 Doors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
 이 때문에 홈도어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것에 맞춰서 야마노테선 6 Doors 차량을

 전부 4 Doors 차량으로 교체합니다.

 또한 에비스, 메구로역 선행도입은 차량교체시기보다 빠르기 때문에 6 Doors 부분에는

 차량 교체 후에 홈도어를 설치할 예정입니다.

*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 모두 6 Doors 차량은 전부 없어집니다.

 지금도 도입되고 있는 케이힌토호쿠선 E233계에는 6 Doors 차량이 없습니다.

 

출처: 63, JR동일본 공지사항

 

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[그림1: 야마노테선에 설치할 홈도어의 모습입니다]

 

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[그림2: 홈도어의 구성을 표시했습니다]

 

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[사진3: TASC 동작원리 입니다]